
라즈베리파이 시리얼 설정용 Shell 스크립트초기 UART통신을 위해 아래와 같이 작업했었다.sudo raspi-config 3 > I6 > No > Yes > OK > Finish > Reboot Yesraspi-config를 사용하여 설정하기 귀찮아 스크립트를 생성하였다. 로그인 비활성화# 시리얼 포트 로그인 비활성화 (systemd 설정 업데이트)sudo systemctl disable serial-getty@ttyAMA0.service UART 통신 활성화# UART 통신 활성화 (config.txt에 "enable_uart=1" 추가)if ! grep -q "^dtparam=uart0=on" /boot/firmware/config.txt; then echo "dtparam=uart0=o..

Ubuntu 16.04에 Python3.7 설치몇년전에 개발했던 보드에 추가기능을 파이썬으로 구현을 해야하는데 버전이 낮은 문제가 있다.기본 버전으로 파이썬3.5가 설치되어 있는데 개발에 사용할 pip 패키지들의 최소 요구사항이 python3.6이다.기존에 운영중이 서비스와 프로그램들에 문제가 없도록 최소한의 업그레이드만 해야한다.우선 우분투 16.04에서 설치할 수 있는방법으로 PPA를 사용하는 방법과 소스컴파일이 있는 것 같다.개발환경aarch64Kernel 4.4.172Ubuntu 16.04PPA1. ppa repository 추가sudo add-apt-repository ppa:deadsnakes/ppa2. 패키지 설치sudo apt updatesudo apt install python3.73. ..
안녕하세요! 이번 글에서는 Nginx를 사용하여 Node.js의 포트를 포워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Nginx는 고성능의 웹 서버 소프트웨어로, 이를 통해 트래픽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여러 서버 사이에서 요청을 분산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Nginx를 사용하여 Node.js 애플리케이션을 호스팅하고, 포트 포워딩을 구성하여 애플리케이션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이제 아래의 단계에 따라 Nginx를 설정하여 Node.js의 포트를 포워딩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단계 1: Nginx 설치 먼저, Nginx를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방법은 운영 체제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해당하는 운영 체제에 맞는 설치 가이드를 따르세요. 단계 2: Nginx 구성 파일 수정 Nginx의 기본 구성 파일인 n..

wsl에 usb를 마운트 하여 우분투에서 사용하려고 했지만 정상적으로 마운트되지 않았다. lsusb 수행시 장치가 잡혀있지만 lsblk로 확인하면 보이지 않는다. USB Mass Storage 디바이스 드라이버가 포함되지 않아서 발생한 문제라고 한다. 커널 모듈을 추가하고 빌드를 다시해야한다. 커널 빌드를 위해 관련 패키지를 먼저 설치한다. sudo apt update && sudo apt upgrade -y && sudo apt install -y build-essential flex bison libgtk2.0-dev libelf-dev libncurses-dev autoconf libudev-dev libtool zip unzip v4l-utils libssl-dev python3-pip cmake..
* 사전 요구 사항 Windows 11 실행(빌드 22000 이상) (Windows 10 지원 가능, https://github.com/dorssel/usbipd-win/wiki/WSL-support) x64/x86 프로세서가 있는 컴퓨터가 필요합니다. (Arm64는 현재 usbipd-win에서 지원되지 않습니다.) Linux 배포판이 설치되고 WSL 2로 설정 Linux 커널 5.10.60.1 이상을 실행합니다. * WSL 리스트 및 상태 확인 PS C:\WINDOWS\system32> wsl -l -v NAME STATE VERSION * docker-desktop-data Stopped 2 Ubuntu-18.04 Stopped 1 Ubuntu-20.04 Stopped 2 docker-desktop ..
* CPU 정보확인 cat /proc/cpuinfo * CPU 상태조회 ls /sys/devices/system/cpu/ cpu0 cpu2 cpu4 cpu6 cpufreq hotplug kernel_max offline possible present cpu1 cpu3 cpu5 cpu7 cpuidle isolated modalias online power uevent CPU번호만큼 확인해볼 수 있다. cat /sys/devices/system/cpu/cpu2/online 0 이면 off, 1이면 on * CPU ON(Enable) echo 1 > /sys/devices/system/cpu/cpu2/online 루트권한으로 바꿔야 정상 수행이 된다. 다른 방법으로 chcpu 툴을 이용하면 편하게 바꿀 수 있..
iwconfig 해보면 wpa로 연결한 SSID로 접속은 되어있다. 하지만 DHCP로 자동 할당이 되지 않았다. 원인을 확인하기 위해 systemctl status wlan_dhcp.service 해보면 아래와 같이 로그가 보인다. No DHCPOFFERS received No working leases in persistent database - sleeping 위의 로그 메시지로 검색해보면 2005년도 데이터가 검색되었다. 현재 사용중인 운영체제 버전이 ubuntu 16.04인데 /etc/dhcp/dhclient.conf 파일을 수정하였다. 현재버전 기준으로 send host-name = gethostname(); 부분은 작성되어있었고 아래 2가지는 주석처리되어 있었다. send dhcp-client..
- Total
- Today
- Yesterday
- Android Bar Color
- AlertDialog
- action bar
- 다트 플러터
- viewDidAppear()
- SHORT URL
- 롯데캐슬
- whose view is not in the window hierarchy
- Window Status Bar
- Naver Cloud Platform
- wsl usb mount
- 어바니엘
- Shell Script
- artik710
- wsl lsblk
- sms api
- Bad mode in Synchronous Abort handler detected
- viewDidLoad()
- clearTimeout
- Nginx #NodeJS #웹서버 #포트포워딩 #웹호스팅 #백엔드개발 #웹개발 #웹프로젝트 #서버관리 #웹애플리케이션
- ProgressBar
- setTimeout
- 루미니
- sms
- USB Mass Storage
- usbipd attach
- raspberrypi serial
- Dart Flutter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