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첫번째로 Vmmem 프로세스의 메모리가 계속 증가하여 느려지는 증상이 있다. 이거는 찾아봐도 MS에서도 해결이 안되는 것 같다. 혹시 몰라 윈도우 11로 업그레이드를 했지만 증상은 여전하다. 두번째로는 스토리지 액세스나 컴파일시 너무느리다. 기존에 리눅스 멀티부팅 환경에서 빌드하는 속도와 너무 차이가 난다. 10년전 컴퓨터에서 빌드하는 느낌이다;;; 찾아보니 도커 볼륨을 WSL2 환경의 파일 시스템으로 마운트 하면 된다고 한다. 스토어에서 Ubuntu를 설치한다. 2023.06.13 - [Linux] - WSL USB 디바이스 연결 WSL USB 디바이스 연결 * 사전 요구 사항 Windows 11 실행(빌드 22000 이상) (Windows 10 지원 가능, https://github.com/dorss..

2023.06.23 - [일상] - 리눅스 개발환경을 윈도우 WSL로 변경하는 이유 리눅스 개발환경을 윈도우 WSL로 변경하는 이유 개발하는 노트북은 윈도우와 리눅스를 다른파티션에 설치하여 멀티부팅 형태로 사용하고 있었다. 개발도중에 윈도우 환경에서 작업해야 하는 급한 일이 생기면 껐다가 다시 켜야하고 초기 부 linkedrow.tistory.com Dockerfile을 작성한다. RUN 마다 레이어가 생성되므로 최대한 한줄로 작성한다. test-docker 이름으로 이미지를 빌드한다. docker build -f .\Dockerfile -t test-docker . 생성된 이미지를 확인한다. docker images 생성한 이미지를 백그라운드로 실행한다. docker run -d -it test-doc..
- Total
- Today
- Yesterday
- USB Mass Storage
- 다트 플러터
- SHORT URL
- artik710
- 롯데캐슬
- viewDidAppear()
- usbipd attach
- Android Bar Color
- AlertDialog
- ProgressBar
- Bad mode in Synchronous Abort handler detected
- setTimeout
- viewDidLoad()
- Shell Script
- Window Status Bar
- wsl lsblk
- raspberrypi serial
- Naver Cloud Platform
- Nginx #NodeJS #웹서버 #포트포워딩 #웹호스팅 #백엔드개발 #웹개발 #웹프로젝트 #서버관리 #웹애플리케이션
- wsl usb mount
- clearTimeout
- sms api
- 루미니
- Dart Flutter
- action bar
- sms
- 어바니엘
- whose view is not in the window hierarchy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